반복문 안에 또 다른 반복문을 만들어 사용도 가능하다.
for (int j = 0; j < 3; j++)
{
for (int k = 0; k < 3; k++)
{
std::cout << "Hello World!";
}
}
2차원 배열은 를 두번 사용하여 선안하며 첫번쨰는 세로의 크기
두번쨰는 가로의 크기를 정한다.
수학에서처럼 y,x로 두고 표기하면 이해하기 쉽다.
#include <iostream>
// 2차원 배열은 [](대괄호)를 두 번 사용하여 선언
// 첫번째는 세로의 크기, 두번째는 가로의 크기
// 수학에서처럼 y,x로 두고 표기하는 습관
int main()
{
int arr[2][4] =
{
{1, 2, 3, 4},
{5, 6, 7, 8}
};
//int arr[y][x] = {
// {[0][0], [0][1], [0][2], [0][3]},
// {[1][0], [1][1], [1][2], [1][3]}
//}
// 예시
int num = arr[y][x];
int y = 0;
int x = 2;
num = 3;
return 0;
}
#include <iostream>
int main()
{
int arr[2][5] =
{
{ 1,2,3,4,5 },
{ 1,2,3,4,5 }
};
arr[0][0] = 1;
arr[1][2] = 2;
for (int y = 0; y < 2; y++)
{
for (int x = 0; x < 5; x++)
{
arr[y][x] = 10;
}
}
return 0;
}
#include <iostream>
int main() {
for (size_t i = 0; i < 10; i++)
{
for (size_t j = 0; j < 10; j++)
{
std::cout << "HELLO"; // "HELLO"를 100번 출력한다.
}
}
return 0;
}
#include <iostream>
// 이중 for문으로 구구단 출력하기
int main()
{
for (int i = 2; i < 10; i++) // 2단부터 9단까지
{
std::cout << std::endl;
for (int j = 1; j < 10; j++) // 1부터 9까지
{
std::cout << i << " * " << j << " = " << i * j << std::endl;
}
}
return 0;
}
#include <iostream>
int main()
{
int num = 101;
if ((num % 2) == 0)
{
std::cout << "짝수";
}
else
{
std::cout << "홀수";
}
if ((num % 3) == 0)
{
std::cout << "3의 배수";
}
else
{
std::cout << "3의 배수 아님";
}
return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