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리스트,튜플,딕셔너리는 파이썬에서 핵심이 되는 자료구조입니다. 앞에서 배운 문자열이나 정수 등은 전부 기본이 되는 데이터형입니다. 이들을 조합하여 복잡한 데이터를 표현 할수 있습니다. 만일 정수와 문자열과 같은 데이터형을 원자에 비유하면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는 분자와 같다고 생각하면 좋습니다.

리스트

0개 이상의 요소를 갖는 시퀀스(나열)입니다. 요소를 추가 삭제하거나 요소를 다시 쓸 수 있습니다. 요소를 []로 감싸 만듭니다.

튜플

0개이상의 쇼로를 갖는 시퀀스(나열)입니다. 리스트왇 ㅏㄹ리 일단 작성하면 변경할 수 없습니다. 요소를 ()로 감싸 작성합니다.

딕셔너리

예를 들어 영한 사전에서 apple이라는 단어를 조사했다고 합시다. 사과라고 쓰여져 있을 것 입니다. 딕셔너리는 위와 같은 기능을 하는 자료구조입니다. 조사하는 단어를 KEY 찾고자하는 값(VALUE)라고 합니다. {}로 키로 값을 지정해서 만듭니다.

리스트와 튜플은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는 [배열]과 매우 비슷합니다.

리스트와 튜플이 결정적으로 다른 점은 리스트는 도중에 값을 변경 할 수 있지만 튜플은 변경할 수 없습니다. 변경할 수 있는 것을 mutable, 변경할 수 없는 것을 immutable이라고 합니다. 자주 나오는 키워드이므로 기억해주세요.

4과목의 점수를 합산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math = 78
science = 83
english = 80
chemistry = 75

total = math + science + english + chemistry
average = total / 4

print("average:", average)

이를 리스트로 바꾸어서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사용이 가능하다.

# 리스트
# math = 78
# science = 83
# english = 80
# chemistry = 75
subject = [ 78, 83, 80, 75]

total = subject[0] + subject[1] + subject[2] + subject[3]
average = total / 4

print("average:", ave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