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에서의 기호 | 파이썬에서의 기호 | |
---|---|---|
덧셈 | + | + |
뺄셈 | - | - |
나눗셈 | ÷ | / |
곱셈 | x | * |
10 + 20
#30
10 - 5
#5
10 * 20
#200
10 / 5
#2.0
사칙연산 외에도 편리한 연산자
나머지 | % |
---|---|
몫을 정수로 구한다 | // |
지수를 구한다 | ** |
10 % 3
1
10 % 4
2
29 / 5
5.8
29 // 5
5
3**2
9
3**3
27
파이썬에는 몫과 나머지를 한번에 구하는 divmod() 명령도 있습니다.
divmod(11, 4)
(2, 3)
# += 덧셈
num = 10
num += 3
print('num : {}'.format(num))
# -= 뺄셈
num = 10
num -= 3
print('num : {}'.format(num))
# *= 곱셈
num = 10
num *= 3
print('num : {}'.format(num))
# /= 나눗셈
num = 10
num /= 3
print('num : {}'.format(num))
# %= 나머지
num = 10
num %= 3
print('num : {}'.format(num))
# //= 몫
num = 10
num //= 3
print('num : {}'.format(num))
# **= 거듭제곱
num = 10
num **= 3
print('num : {}'.format(num))
변사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상자와 같습니다.
x = 10이라고 입력하면 10이 들어있는 변수 x가 만들어집니다. 즉, 변수이름 = 값 형식이죠. 이렇게 하면 변수가 생성되는 동시에 값이 할당(저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