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amyamcoding.com/1430b1ff-a61e-8040-a542-d672d5d25328
- *"개발자 신입은 과연 뽑을만한 사람이 없어서 못 뽑는 건가?"**라는 질문은 단순히 신입 개발자의 역량 부족을 탓하기보다는, 기업의 기대치, 신입 개발자의 준비 상태, 업계 환경이 얽힌 복합적인 문제입니다. 이를 분석하며 답을 찾아보겠습니다.
1. 기업 관점: 정말 "뽑을만한" 신입이 부족한가?
기업들이 신입을 뽑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준비된 신입 개발자를 찾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에는 기업의 기대와 환경도 영향을 미칩니다.
(1) 기업이 원하는 "신입"의 정의
- 많은 기업은 "신입"이라고 하면서도 즉시 실무 투입 가능한 사람을 기대합니다.
- "신입"이어도 어느 정도 실무 경험이 있거나, 프로젝트를 진행해본 포트폴리오가 있는 경우를 선호합니다.
- "배우면서 성장"보다는, 기본기를 갖춘 상태에서 바로 일할 수 있는 사람을 원합니다.
- 이러한 기대는 사실상 신입이 아니라 경력 1~2년 차 수준의 역량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리소스 부족
- 교육 부담 문제:
- 신입 개발자는 교육과 멘토링이 필요하지만, 많은 회사는 이를 감당할 시간과 리소스가 부족합니다.
- 특히,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은 빠른 성과를 내야 하므로 신입 교육에 시간을 쏟기 어렵습니다.
- 프로젝트 압박:
- 게임, 소프트웨어 등 프로젝트 중심의 업계에서는 일정 압박이 심하기 때문에, 신입이 학습하며 성장할 시간을 제공하기 어렵습니다.
(3) 선호와 현실의 간극
- 대기업과 인기 있는 회사로는 신입 지원자가 몰리지만, 중소기업은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 인기 회사일수록 높은 기준을 적용하며, 지원자 중에서 뽑을만한 사람이 적다고 느낍니다.
2. 신입 관점: 정말 준비가 안 된 것인가?
신입 개발자들이 준비가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지만, 이는 신입과 기업 간 기대치의 불일치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신입 개발자들의 현실
- 경험 부족:
- 실무 프로젝트 경험을 쌓을 기회가 적어, 기업이 기대하는 수준의 포트폴리오를 준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학원이나 대학교에서 배우는 이론은 실무와 괴리가 있을 때가 많습니다.
- 엔진과 도구에 치우친 학습:
- 예를 들어, Unity, Unreal 등 툴 사용법에만 집중하고, 엔진 내부 구조나 저수준 프로그래밍(예: 그래픽 API, 메모리 관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 이는 일부 기업에서 "기초가 부족하다"고 평가하는 이유가 됩니다.